STAGE

‘음악의 어머니’ 헨델의 연말 선물

작곡가 헨델의 오라토리오 ‘메시아’가 서울시합창단의 따뜻한 연말 선물로 찾아온다.

“엄마가 좋아, 아빠가 좋아?” 인생에서 결정을 주저하게 되는 최초의 순간은 이 질문을 받았을 때가 아닐까요. 아이뿐만 아니라 청소년이나 어른에게도 어려운 질문입니다. 우열을 가리기 힘든 동급이기 때문이죠. 음악의 아버지는 바흐, 음악의 어머니는 헨델이라고 합니다. 헨델이 여성이 아니란 사실을 말하기는 이젠 진부하지요. 하지만 아버지와 어머니의 위상을 생각할 때 바흐에 비견되는 작곡가 헨델의 위치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

현실적인 예술가, 헨델

헨델은 바흐와 같은 해인 1685년 2월 23일 독일의 할레에서 태어났습니다. 한편 바흐는 1685년 3월 21일 아이제나흐 태생인데요, 이 두 곳은 그리 멀지 않습니다. 100km 정도이니, 서울에서 천안 정도 거리를 두고 두 거장이 이 세상에 왔네요. 바흐는 평생 독일 땅에서 오르가니스트로 지냈는데요, 헨델은 전 유럽을 무대로 활동했습니다. 그러면서 게오르그 프리드리히라는 이름뿐 아니라 조지 프레데릭 헨델로도 통했습니다. 바흐가 코랄을 바탕으로 음악을 만들었던 데 반해, 헨델은 이탈리아어로 된 오페라가 핵심입니다. 헨델은 음악성에서도 바흐와 충분히 비견할만했음에도 그의 천재성은 바흐에 가려져서 곡해되곤 했습니다.
보통 작곡가들은 신비주의적인 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헨델에게는 이런 측면이 없었습니다. 명성과 부를 위해 예술적인 도박을 했다고 불릴 만큼 현실적인 태도를 지녔던 작곡가가 헨델입니다. 헨델은 독일과 이탈리아, 프랑스, 영국의 전통에 편견 없이 의지한 세계적이고 절충주의적인 예술가였습니다. 헨델의 아버지는 외과의사 겸 이발사였고, 어머니는 목사의 딸이었습니다. 어려서부터 음악에 관심이 많았지만 헨델의 아버지는 좋은 돈벌이를 위해서 법률 공부를 권유했습니다. 다락에 숨어서 조그만 클라비코드로 홀로 연습에 열중하는 어린 헨델을 떠올리면 안쓰럽기도 합니다.

작곡가 헨델은 바흐에 비견되는 음악성을 가진 고전 음악의 거장이다.

헨델의 작풍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는 ‘메시아’

‘음악의 어머니’ 헨델의 작풍을 가장 잘 느낄 수 있는 작품이 바로 오라토리오 ‘메시아’입니다. 오페라와 비슷하지만 가수들이 연기를 하지 않고 음악만으로 풀어가는 ‘오라토리오’라는 장르는 17세기부터 존재했습니다. 본격적인 전승은 헨델부터 이루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바로 ‘시간과 깨달음의 승리’, ‘에스테르’, ‘데보라’, ‘아탈리아’, ‘사울’ 등의 작품이죠. 오라토리오의 전통은 나중에 하이든, 멘델스존, 엘가로 이어집니다.
‘메시아’는 다른 오라토리오와 달리 등장인물이 없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헨델의 곡 가운데서도 대단히 극적인 작품이지만 ‘이집트의 이스라엘인’이나 ‘마카베우스의 유다’ 같은 드라마로서의 흥미보다는 예수 그리스도의 일생을 감동적으로 묘사함으로써 누구에게나 직접적인 호소력으로 다가옵니다.
메시아(Messiah 혹은 Messias)는 히브리어(maschiach)를 고대 그리스어 ‘Μεσσίας(Messias)’로 옮긴 말입니다. ‘기름을 바른(또는 기름을 부은)’이라는 뜻을 갖고 있죠. 본래 유대교의 예법에 쓰인 말로 지위가 높은 사람, 특히 유대 사람의 지도자를 가리키는 말로 풀이됩니다. 향료를 몸에 바르는 예법이 있었기 때문에 이 말이 생긴 것으로 여겨집니다. ‘신이 선택한 지배자’ 혹은 ‘고통받는 자’이기도 하고 우리말로 ‘구세주’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헨델의 오라토리오 ‘메시아’는 3부작으로 되어있습니다. 1부 ‘예언과 탄생’에서는 구약성경에 나타나 있는 메시아에 대한 예언의 말씀과 신약성경의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과 예수님이 어떤 분이신가를 나타냅니다. 2부 ‘고난과 속죄’에서는 구약성경의 이사야서 예언 내용대로 이 세상의 죄를 대신 짊어지기 위해서 오신 예수 그리스도가 고난과 죽임을 당하시고 부활하셔서 이 세상을 영원히 다스리실 왕이심을 선포합니다. 3부 ‘부활과 영생’에서는 우리 죄를 대신 지고 어린 양(예수)이 죽임을 당하므로 우리가 사망에서 건짐을 받고, 예수 그리스도가 부활하심으로 우리가 영생을 얻었으므로 주의 자녀로서 보좌에 앉으신 주님께 감사와 영광을 영원히 돌려야 함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서울시합창단 <헨델, 오라토리오 ‘메시아’>는 연말의 감동을 선물할 예정이다.

연말의 따뜻한 마음이 모인 공연

헨델은 1741년 11월 18일에 더블린에 도착하여 그 이듬해 8일까지 머물면서 여러 작품들을 공연했는데요. 신작 메시아는 이때보다 좀 늦은 1742년 4월 13일, 더블린의 피샴블 가에 있는 음악당에서 작곡자의 지휘로 초연됐습니다. 입장권은 매진되고 청중은 모두 깊은 감동에 빠졌으며 신문들도 절찬을 아끼지 않았다 합니다. 런던에서의 초연은 1743년 3월 열렸습니다. 종교음악을 일반 연주회장에서 공연한다고 해서 반대하는 의견이 많았고 더블린에서와 같은 성공은 거두지 못했다고 합니다. 이날 가장 유명한 2부 끝의 ‘할렐루야 코러스’에서 국왕인 조지 2세가 너무나 감격한 나머지 벌떡 일어섰다고 해서 청중들도 따라 일어서는 관습이 생겼다고 합니다. 한편으로는 조지 2세가 늦게 오는 바람에 국왕이 오는 것을 보고 청중들이 일어섰다는 설도 있습니다. 더블린에서 자선을 목적으로 공연됐기 때문에 1750년 이후, 헨델은 매년 고아 양육원(1739년 설립)을 위해서 이 작품을 연주했습니다. 현대에 와서도 크리스마스 시즌 때 자선을 목적으로 공연하는 것이 전통입니다. 연말의 따스한 마음을 모아 공연하는 ‘메시아’. 보는 사람들의 마음도 풍성해질 것 같습니다.

오라토리오에서는 대체로 합창단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헨델의 ‘메시아’도 마찬가지입니다. 12월 17일과 18일 세종체임버홀에서 열리는 서울시합창단의 <헨델, 오라토리오 ‘메시아’>는 헨델의 순도 높은 합창음악의 진수를 더욱 진하게 만끽할 수 있는 무대로 기대됩니다. 안양시립합창단의 상임지휘자이자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합창지휘과 겸임교수인 이충한이 객원지휘를 맡고 원전연주 앙상블인 카메라타 안티콰 서울이 기악 연주를 맡습니다. 2005년 창단한 카메라타 안티콰 서울은 17~18세기의 음악을 당대 악기와 주법으로 소개해 왔습니다.

연말엔 떠들썩한 모임 분위기도 좋지만 세종체임버홀에서 2021년 한 해를 마무리하는 정연하고 풍성한 정신적 고양감을 얻어 가시면 어떨까요. 귓가에 맴돌 ‘할렐루야’의 감동. 헨델 ‘메시아’는 잊을 수 없는 연말의 선물입니다.

베토벤 탄생 250주년이자 엄청난 시련을 겪고 있는 2020년. 서울시합창단과 서울시유스오케스트라가 베토벤이 영혼으로 직조한 난관 극복기를 들려준다.

서울시유스오케스트라와 함께 연주할 바이올리니스트 송지원.

베토벤 탄생 250주년이자 엄청난 시련을 겪고 있는 2020년. 서울시합창단과 서울시유스오케스트라가 베토벤이 영혼으로 직조한 난관 극복기를 들려준다.
베토벤 탄생 250주년이자 엄청난 시련을 겪고 있는 2020년. 서울시합창단과 서울시유스오케스트라가 베토벤이 영혼으로 직조한 난관 극복기를 들려준다.

서울시유스오케스트라와 함께 연주할 바이올리니스트 송지원.

베토벤 탄생 250주년이자 엄청난 시련을 겪고 있는 2020년. 서울시합창단과 서울시유스오케스트라가 베토벤이 영혼으로 직조한 난관 극복기를 들려준다.
베토벤 탄생 250주년이자 엄청난 시련을 겪고 있는 2020년. 서울시합창단과 서울시유스오케스트라가 베토벤이 영혼으로 직조한 난관 극복기를 들려준다.

서울시유스오케스트라와 함께 연주할 바이올리니스트 송지원.

베토벤 탄생 250주년이자 엄청난 시련을 겪고 있는 2020년. 서울시합창단과 서울시유스오케스트라가 베토벤이 영혼으로 직조한 난관 극복기를 들려준다.
베토벤 탄생 250주년이자 엄청난 시련을 겪고 있는 2020년. 서울시합창단과 서울시유스오케스트라가 베토벤이 영혼으로 직조한 난관 극복기를 들려준다.
베토벤 탄생 250주년이자 엄청난 시련을 겪고 있는 2020년. 서울시합창단과 서울시유스오케스트라가 베토벤이 영혼으로 직조한 난관 극복기를 들려준다.

서울시유스오케스트라와 함께 연주할 바이올리니스트 송지원.

_류태형(음악 칼럼니스트)